Blessing of God in Kairos

Looking back on the past 72 years, I am determined to live the rest of my life in Kairos, with the focus on my relationship with God, rather than in Kronos. I hope that the testimony of a person like me, someone who falls so short, will serve as a small reference for those who read this newsletter.
When my life was in jeopardy shortly after I was born, my father ran to the church and made a vow, naming me ‘Moses,’ a name that was not passed down the family line, and registered it only in Korean. My father wanted me to become a pastor, but he didn’t force me, perhaps because I seemed so unqualifi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my senior year in high school, I suddenly told him that I wanted to study music in college, and he replied with disappointment: “Well, I heard there are ministers of music in the U.S.” Don’t be surprised. Six years after my father went to heaven, I ended up being ordained as a pastor at the late age of 43, and the first position I received at a local church was ‘minister of music.’
Due to my lack of musical talent and skill, I left the music field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n February 1973. Upon finishing my military service, I instead joined a trading company to follow the so-called “successful career path”. Since I studied classical music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served as a choir conductor for many years in the church, I was appointed as a deacon earlier thanks to my name, but I was an unregenerate Christian who went to church with a pack of cigarettes hidden in my socks. My concerned mother used to say to me when I came home drunk day in and day out. “For someone named Moses, why do you drink so much? Aren’t you ashamed?”
On August 2nd 47 years ago, I fell in love at first sight with my wife, who was a pianist at the church; we have been married for about 45 and a half years now. In 1982, after five years of marriage, my wife started having doubts about her relationship with God, whom she had believed in for 30 years, but after experiencing His grace, began to lead a spiritual life far different from mine. Even as I persecuted her, she still adored the Lord’s grace and bore the beautiful fruit of the Holy Spirit through her life. Therefore, it wasn’t easy to find an opportunity to persecute her. But one day, I came home from work and my wife didn’t get back until later. It seemed she was a bit late because she went out to evangelize on that day. She kneeled down in front of me as I sat on the sofa, boiling with rage, and she begged for forgiveness. Just as she moved to stand, I slapped her with all my strength. I struck her so hard that she collapsed. However, in the face of my unquenched anger, my wife turned her other cheek to me, saying, “If you’re still angry, slap this cheek too.” (At that moment I was actually rather terrified of where her power and courage came from.)
Even as she endured a year and a half of this persecution, she must have prayed fervently for her husband to change. And finally, the Kairos from God came to me. At my wife’s earnest request, I promised to attend a summer retreat held by a mission organization during the four-day summer vacation of early August, 1983. However, due to my limited vacation period, I left a day later than my family. I drank beer on the express bus as I headed to the east coast…. My wife, who came out to meet me at the destination, was at a loss when she saw my alcohol-flushed face and a cigarette sticking out from my mouth. I was so angry at the thought of being deceived. It turned out that the retreat was a spiritual gathering like revival meeting! In a word, I refused to accept God’s grace. I cannot believe how furious and belligerent I was, seething as I thought, “If anyone crosses me..!”
Finally, it was time for the last session. I hadn’t slept very well the night before, considering for the first time, “Maybe it’s not those hundreds of people who are wrong, but me.” Everyone was scheduled to go back to Seoul following the final morning session and lunch. It was then that I approached the front seat for the first time throughout the entire retreat. (Probably my spirit was hungry for grace.) The moment I sat down, tears poured from my eyes and my nose ran as I prayed in repentance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confessing that Jesus was my Master and pledging my loyalty. On August 5, 1983 the Lord personally met me. Praise God!
I was so overjoyed and grateful that I kept singing praises on the bus for hours as we made our way back to Seoul. The next day, I began to evangelize to non-believing acquaintances. A week or so later, I abruptly realized that I hadn’t purchased any cigarettes, nor did I even want to smoke. In the past, I had tried and failed to quit smoking a few times, but God took away the taste for cigarettes from me, someone who had smoked and behaved arrogantly before the saints. I later also stopped drinking (which was impossible for the head of the export department of a trading company), and I felt like I was living heaven on earth.
Six years later, on August 14, 1989, a crisis fell upon my family; we lost our two daughters in an unexpected car accident, and my wife, who was driving at the time, became severely disabled, but what a blessing this was! This is because God has shown us a greater, more amazing plan for us and has guided us all the way. Without the pain and suffering of that day, I would not have been called to be a pastor, there would be no Shalom Disability Ministries, I would not have met all of you, and I would not have been given the opportunity and privilege to serve the Korean community in Southern California and the global disability community.
Now the “Kronos” time will not last much longer. However, it doesn’t matter how many more years we live on earth.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o live the rest of our lives amidst God’s involvement and blessings in “Kairos” (God’s appointed time), being used as a tool to carry out His will until the end. Praise the Lord!
박모세
카이로스의 축복
지난 72년의 삶을 뒤돌아보며 저는 남은 여생을 연대적인 시간(Kronos)보다는 하나님과의 관계속에 나타나는 특정한 시간(Kairos)을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부족한 사람의 간증이 이 뉴스레터를 읽게 되는 분들에게 작은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태어난 지 얼마 안되어 제가 처한 위경으로 인해 아버지께서는 교회로 달려가 하나님께 서원기도를 드린 후 저에게 집안 돌림자에도 없는 “모세”라는 이름을 지어주시고 호적에도 한글로만 올리셨답니다. 아들이 목사가 되기를 원하셨지만, 워낙 자질이 없어 보여서인지 저에게 강요하시지는 않으셨습니다. 고3 2학기에 갑자기 음악대학에 진학하겠다고 말씀드렸더니 아버지는 실망하신 모습으로 이렇게 대답하시더군요. “하기야 미국에는 음악목사도 있다더라”. 그런데 놀라지 마십시오. 결국 아버지께서 천국에 가신지 6년만에 저는 43세라는 늦은 나이에 목사 임직을 받았으며 유학차 도미하여 지역교회에서 처음 받은 직분이 바로 “음악목사” 였습니다.
그러나 음악적인 재능과 실력이 부족하여 저는 1973년 2월에 대학을 졸업하고 군 복무를 마친 후 음악계를 떠났고 대신 무역회사에 입사하여 이른 바 “출세의 길”을 가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짧은 시간 성악을 공부한 덕분에 교회에서는 성가대 지휘자로 여러 해 섬기며 아마도 이름 덕분에 빨리 집사직분도 받았지만, 저는 담배곽을 양말에 감추어 교회를 다니던 날라리 신자였습니다. 허구한 날 술에 취하여 밤늦게 귀가하던 저에게 어머니는 걱정스러워 하시며 이런 말씀을 하시곤 했습니다. “너 모세라는 사람이 웬 술을 그렇게 마시냐! 부끄럽지도 않냐?”
한편, 저는 47년전 8월 2일에 모 교회에서 반주하던 아내를 처음 보는 순간 첫눈에 반했으며 결혼한지는 약 45년반이 되었습니다. 결혼한지 5년만인 1982년 아내는 30년간 믿어 온 하나님과의 관계에 회의를 갖게 되었고 사모하는 가운데 은혜를 체험하더니 인격적인 삶에서 저와는 다른 영적인 삶을 살더라구요. 남편의 핍박을 받으면서도 여전히 은혜를 사모하며 삶을 통해 아름다운 성령의 열매를 맺는거에요. 그러니 핍박할 기회를 찾기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퇴근해 집에 와보니 아내가 보이지 않는 것이었어요. 아마도 전도하다가 좀 늦어진 것 같았습니다. 잔뜩 화가 나서 소파에 앉아 있는 제 앞에 아내는 무릎을 꿇고 용서해달라고 빌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일어서는 아내의 따귀를 힘을 다해 때렸습니다. 얼마나 세게 때렸는지 쓰러지더군요. 그래도 화가 풀리지 않은 저에게 아내는 “아직도 화가 안 풀렸으면 이쪽 뺨도 때려요” 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순간 어디서 그런 용기와 힘이 나는지 솔직히 두려운 마음이 들더군요.)
아내는 약1년반 동안 핍박을 받으면서도 남편이 변화되기를 간절히 기도했겠지요. 그리고 저에게도 드디어 하나님의 카이로스가 찾아온 것입니다. 1983년 8월초에 아내의 간절한 권유로 저는 연중 3박4일의 여름휴가 동안 모 선교단체에서 실시하는 하계 수련회에 참석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제한된 휴가기간으로 인하여 저는 가족들보다 하루 늦게 출발했습니다. 동해안으로 가는 동안 고속버스 안에서 맥주를 마시고…. 도착지에 마중 나온 아내가 저의 빨개진 얼굴에 담배를 입에 물고 있는 모습을 보고는 어쩔 줄 몰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제 속에서는 “속아서 왔다”는 생각에 화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었습니다. 보니까 일종의 부흥회 같은 장소에 온 것이 아닙니까! 한 마디로 저는 은혜 받기를 거부했습니다. 속으로 얼마나 화가 나고 호전적이었는지 모릅니다. “누구든 나한테 한번 걸리기만 해봐라!”.
드디어 마지막 집회시간이 다가왔습니다. 그런데 그 전날 밤에 잠이 잘 오지 않았으며 처음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이었어요. “혹시 저 수백명의 사람들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내가 잘못된 것은 아닐까?” 다음날 오전 집회를 마지막으로 점심식사를 하고 나면 모두가 서울로 돌아갈 스케쥴이었습니다. 저는 그 마지막 집회에 나도 모르게 처음으로 앞자리로 나갔습니다. (아마도 나의 심령은 은혜를 사모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자리에 나가 앉자마자 눈물 콧물이 쏟아지며 평생 처음 회개의 기도를 하게 되었고 예수님을 나의 주인으로 고백하며 충성을 다짐하였습니다. 1983년 8월 5일에 주님께서는 저를 인격적으로 만나 주신 것입니다. 할렐루야!
서울로 돌아오는 몇시간 동안 얼마나 기쁘고 감사했던지 버스 안에서 계속 찬송을 불렀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날부터 믿지않는 지인들에게 처음으로 전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후 1주일 정도 지났을 때에 갑자기 깨달아진 것이 제가 담배를 살 생각도, 피우고 싶은 생각도 하지 못한 것입니다. 전에는 금연을 하려고 몇 번 시도했다가 실패했는데 하나님께서는 성도들 앞에서 담배 피우며 교만을 떨던 저에게서 아예 담배 맛을 빼앗아 가신 것입니다. 그리고 후에 술도 끊게 되었으며 (사실, 무역회사 수출부서장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이 땅에서 천국을 사는 것 같은 삶을 살았던 것 같습니다.
그 후 6년만인 1989년 8월 14일 불의의 교통사고로 두딸을 모두 잃고 운전하던 아내가 중증 장애인이 된 가정의 위기가 찾아왔습니다만, 이것이 얼마나 큰 축복이 되었는지요! 이는 하나님께서 저희 부부를 향하신 더 크고 놀라운 계획을 보여 주시고 지금까지 인도해 주셨기 때문입니다. 그 날의 아픔과 고난이 없었더라면 목사로 부르심을 받지도 않았을 것이며, 샬롬장애인선교회도 없었을 것이며 여러분도 만나지 못했을 것이고 남가주와 지구촌 장애인사회를 섬길 기회와 특권도 주어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제 크로노스의 시간은 저희에게도 그리 오래 남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얼마나 더 오래 살던 그것은 문제가 아닙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 속에 관여하시고 그분의 역사를 이루시는 도구가 되어 영원에 잇대어 카이로스의 축복 가운데 여생을 사는 것입니다. 할렐루야!
박모세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