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사랑이야기

Since 1981, my home country has designated April as “Disability Awareness Month”, and April 20 as the “Disability Awareness Day”. Up until then, Korea was a barren wasteland in regard to welfare for the disabled. Thanks to the designation,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has changed immensely and the welfare system ha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DA (Americans with Disability Act), an individual with a disability is defined as “a person who has a physical or mental impairment that substantially limits one or more major life activities”. As someone who has been a member of the disability community for about 33 years, I think this definition is too narrow and limited. Technically speaking, everyone lives with a kind of disability in his or her own way. Some people seem to be pretty well-off physically and socially, but we can see that they have terrible personality disorder.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there are many who are healthy & strong mentally, emotionally, and have a better personality than most others.
Recently, I asked my wife a question while caring for her. “What does your disability mean to you?” She answered without any hesitation, “It is a blessing!” In truth, disabilities are neither a blessing nor a curse. Depending on how you view and accept the disability, it can be a blessing or a curse. As a matter of fact, living as a disabled member, one must endure pain and hardships that are difficult to imagine,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That’s why many people break up because they are unable to handle those trials, or because they do not want to sacrifice themselves. There are even quite a few parents who abandon their disabled children.
As you know, I was called by the Lord through my wife’s severe disability, and I’ve been devoting my life to the disability ministry with God’s guidance. I believe that it is the greatest blessing of our lives to serve the disabled from the humble beginning of our ministry with our local Korean community in LA to serving the Southern California area and by the grace of God currently globally. When I go to heaven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meeting many people whom I haven’t met on this earth, and hearing them express their gratitude that they came to heaven thanks to Shalom Disability Ministries.
Our Ministries has been writing an invisible book called “Love Story on Wheels” for about 23 years. The love story will continue on. For this year in particular,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foundation, we have dedicated our ministry not only to the disabled, but also to orphans and widows. By the way, I realized that the Bible is a book full of God’s love stories for sinners who have become spiritually disabled. The Bible is the very book that recorded God’s amazing plans for the salvation of the spiritually disabled who need to be saved, and the glory that the redeemed enjoy forever.
I hope that especially during this Lent season, as we meditate on God’s amazing love displayed for us through the Lord’s sufferings, we will see the glory of His resurrection and live a life of sanctification in filling up that which is behind the afflictions of Christ in our flesh for His sake. Maranatha!
박모세
장애인 사랑 이야기
고국에서는 1981년부터 4월을 “장애인의 달”로, 그리고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제정하여 지키고 있습니다. 그 당시까지 한국은 장애인 복지에 관한한 불모지였습니다. 이런 법제화 덕분에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많이 달라졌으며 복지제도 역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미국 장애인 통합법에 따르면 장애인을 “몸의 한 부분이나 그 이상 생활하는데 주요활동을 크게 제한하는 신체적 혹은 정신적 결함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합니다. 한편, 약 33년간 장애인사회의 일원이 된 저에게 이 정의는 너무도 협소하고 제한적이란 생각이 듭니다. 엄밀히 말하면 모든 사람은 나름대로 일종의 장애를 가지고 살아갑니다. 어떤 분들은 신체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볼 때 꽤 괜찮은 사람처럼 보이지만 인격이나 성격에 있어서 큰 장애를 가지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반면, 신체적으로는 장애가 심한 분들 중에도 정신적으로, 정서적으로 그리고 인격적으로 어떤 사람들 보다도 장애가 없는 분들도 얼마든지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 저는 아내를 간병하면서 이런 질문을 던져봤습니다. “당신에게 장애는 어떤 것이었오?”. 아내는 주저함없이 “축복이었어요!”라고 대답하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장애는 축복도 저주도 아닙니다. 장애를 어떻게 보고 받아드리느냐에 따라서 그것은 축복이 될 수도, 저주가 될 수도 있습니다. 사실, 장애인으로 또는 장애인 가족으로 산다는 것은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상상하기 어려운 아픔과 고난을 감내해야 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그 고난을 감당하기 어려워서 혹은 희생하고 싶지 않아서 헤어지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장애를 입은 자녀들을 버리는 부모들도 제법 많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저는 아내의 중증 장애를 통해서 주님의 부르심을 받게 되었으며 하나님의 인도하심 가운데 장애사역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LA 한인사회를 시작으로 남가주는 물론 지구촌 장애인사회를 섬기게 된 것은 저희 부부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축복이라고 믿습니다. 훗날 천국에 갔을 때 이 땅에서는 만나 보지도 못한 많은 분들이 샬롬장애인선교회 덕분에 천국에 오게 되었다며 감사의 인사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선교회는 약 23년간 “장애인 사랑 이야기”라는 보이지 않는 책을 써 왔습니다. 그리고 그 사랑 이야기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특별히 금년에는 선교회 창립이래 처음으로 장애인사역 뿐만 아니라 고아와 과부 사역을 추가했습니다. 한편, 저에게 깨달아진 것이 성경은 영적으로 장애인 된 죄인들을 향하신 하나님의 사랑 이야기로 가득 찬 책이라는 것입니다. 구원받아야 할 영적 장애인들에 대한 하나님의 놀라운 구원계획과 구원받은 자녀들이 영원히 누릴 영광에 대해 기록한 책이 바로 성경입니다.
특별히 사순절을 보내면서 그리스도의 고난을 통해 하나님의 그 놀라운 사랑을 묵상하며 부활의 영광을 바라보고 주님의 남은 고난을 우리 육체에 채우는 성화의 삶을 살아가기를 소원합니다. 마라나타!
박모세 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