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 Story on Wheels

Shalom! Since its foundation 22 years ago, we have leapt into the disability ministry with a vision of a domestic and overseas mission. Along the way, the event first held in 2003 in order to raise funds to promote a large-scale ministry was “Love Story on Wheels”. The 18th annual concert will be held on-line this year as well.
As you know, a “wheelchair” is the common symbol for disabled people, and “Love Story on Wheels” is meant to be a love story for them. We, by God’s grace, have made many stories of love so far, and we are looking forward to what other stories of love will continue through the 18th concert. The love story is none other than the good news of salvation for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and their stories about how it changed their live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situation of the pandemic has recently improved significantly, so we expect to exit this long, dark tunnel soon. However, it’s such a pity that COVID-19 is still raging in many impoverish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I know that there are quite a few Korean missionaries who have been infected with coronavirus, and some have even gone to heaven.
During this time, we have been working on a new project called “Bread of Life on Wheels” since March, and it will be implemented by the end of this year. What distinguishes this from last year’s successful project, “Meals on Wheels”, is that it has been upgraded to a more specific ministry, where missionaries will only “search and serve” the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at each mission site. In other words, we provide medical equipments (such as wheelchair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families, school expenses to underprivile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eals of love to starving families. Therefore, we evangelize to the disability communities, by personally preaching the gospel of Christ, which is the bread of life, through 10 missionaries in 10 countries. How thrilled I am to think of how pleased God will be! Praise God!
It is in many ways a blessing to live in a wealthy country like the United States in the end times. Of course, we have lost much due to COVID-19, and we are in the midst of many difficulties. Nevertheless, the difficulties of those living in the underdeveloped environments and conditions cannot even be compared to ours.
One dollar a day can supply one person with essential food, and 30 dollars can support him or her for a month. However, it’s not a small sum when considering a family of four or five. 30 dollars is also the cost of entrusting disabled children to daycare for a month or paying school expenses. Furthermore, a $200 donation provides a wheelchair that acts as legs for people with severe, mobility-limiting disabilities. Can you imagine the joy of those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these gifts! In the eyes of faith, missionaries seem to be having the most spiritual fun. Ha, ha, ha!
I think people are creatures of habit. Even now, people do not want to take off their masks even if they are told to. Compared to how we felt when the pandemic first hit last year, we have changed so much. The devotion of churches and others in assisting the impoverished is far lower than last year. For those of you who are reading the Shalom newsletter, remember that in God’s eyes, the souls of the disabled are just as precious as that of those with healthy bodies. In these end times, let us all concentrate on amassing a great reward in heaven.
Moses Park
“But when you give a reception, invite the poor, the crippled, the lame, the blind, and you will be blessed, since they do not have the means to repay you; for you will be repaid at the resurrection of the righteous.” – (Luke 14:13-14)
휠체어 사랑 이야기
샬롬! 본 선교회는 22년 전 창립 이래 국내사역과 동시에 해외선교에 비젼을 가지고 장애사역에 뛰어들었습니다. 그러던 중 규모 있는 선교사역을 추진하기 위해 2003년에 처음으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한 행사가 바로 “휠체어 사랑 이야기” 입니다. 어느덧 제18회 연례 컨서트를 금년에도 온라인으로 개최하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휠체어”는 장애인들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휠체어 사랑 이야기”는 다른 말로 장애인들에 대한 사랑 이야기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본 선교회는 지금까지 많은 사랑의 이야기들을 만들어 왔으며 제18회 컨서트는 또 어떤 사랑의 이야기들을 이어갈지 기대가 됩니다. 그 사랑의 이야기는 다름 아닌 장애인들과 그 가족들의 구원의 기쁜 소식과 변화된 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최근에 팬데믹 상황이 현저하게 좋아져서 머지않아 길고 어두운 팬데믹의 터널을 빠져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그러나 지구촌의 가난한 여러 나라들의 경우 COVID-19 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한인 선교사님들 중에도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신 분들이 상당히 많고, 심지어 천국에 가신 분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본 선교회에서는 “휠체어에 생명의 양식을 싣고”라는 새로운 사업을 3월부터 추진 중에 있으며 금년말까지 시행하려고 합니다. 본 사업이 작년에 성공적으로 추진한 “사랑의 양식 보내기”와 구별되는 것은 각 선교지에서 장애인 가정들만 “찾아내어 섬기는” 한층 구체화된 장애사역의 업그레이드를 의미합니다. 즉, 장애인 가정들의 필요에 따라서 휠체어와 같은 의료보장구들을 공급하고, 장애를 입은 가난한 학생들에게는 학비보조를, 그리고 굶주린 가정에 사랑의 양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총 10개국에 열 분의 선교사님들을 통해 생명의 양식인 그리스도의 복음을 개인적으로 전하며 장애인사회를 복음화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것을 생각하면 얼마나 감격스러운지요! 할렐루야!
말세에 미국과 같은 부강한 나라에서 산다는 것은 여러 면에서 축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COVID-19 로 우리도 많은 것을 잃었으며 적지 않은 어려움 가운데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후한 환경과 여건 속에서 살아가는 저들의 어려움은 우리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습니다.
하루 1불이면 한사람의 최소한의 양식을, 30불이면 한 사람의 한달 양식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한 가정에 4-5인의 식구를 감안하면 결코 적은 금액은 아니지만요. 또한 30불이면 장애아동을 한달간 데이케어에 맡기는 비용이나 학비보조가 됩니다. 더 나아가 200불의 후원금이면 거동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에게 다리의 역할을 하는 휠체어를 제공해 줍니다. 이런 선물을 받는 장애인들과 그 가족들의 기쁨을 상상해 보셨습니까! 믿음의 눈으로 볼 때 선교사님들이 영적으로는 가장 큰 재미를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 하, 하!
사람은 습관의 동물인 것 같습니다. 이제는 마스크를 벗으라고 해도 잘 벗지 않으려고 합니다. 한편, 팬데믹이 장기화되어서 그런지 작년에 처음 팬데믹이 닥쳤을 때의 마음가짐과 얼마나 많이 달라졌는지 모릅니다. 교회와 성도님들의 관심이 작년에 비해 너무 저조합니다. 샬롬 뉴스레터를 읽게 되시는 여러분, 장애인들의 영혼도 하나님께서 보시기에는 몸이 성한 분들의 영혼과 동일하게 소중합니다. 마지막 시대에 우리 모두 천국에 상급을 많이 쌓는 일에 열심을 내십시다.
박모세목사
“잔치를 베풀거든 차라리 가난한 자들과 몸 불편한 자들과 저는 자들과 맹인들을 청하라 그리하면 그들이 갚을 것이 없으므로 네게 복이 되리니 이는 의인들의 부활시에 네가 갚음을 받겠음이라 하시더라”(눅 14:13~14)

